로봇/전자

실무자가 들려주는 전선 굵기 선정하는 방법 [전선허용전류표]

앤카 2022. 5. 5. 00:00
반응형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 일은 올바른 차단기를 선정하는 것 만큼 중요합니다.

전선 그냥 아무거나 사용하면 되는거 아니냐. 뭐가 중요하냐 라고 물으신다면, 감히 제가 말하건데 당신은 전린이[전기를 처음 시작하는 어린이] 입니다.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는 일이 중요한 이유는 전선은 허용되는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흘러가면 타버리기 때문입니다. 화재가 발생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그냥 굵은 전선을 사용하면 해결 되는 것 아니냐고, 여쭈어 보실 수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그냥 굵은 전선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전선은 굵기가 굵을 수록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미련한 방법입니다.

 

전선 굵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하는 것은 3가지 있습니다.

1. 허용 전류

2. 전압 강하

3. 기계적 강도

 

허용 전류란, 전선의 굵기 별 안정하게 흘러갈 수 있는 전류의 양[암페어, A]를 의미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전선의 허용 전류의 70~80% 정도의 수준으로 전선을 선택합니다.

SQ라는 단위는 전선의 단면적을 의미합니다.

전선 중 1.2mm, 1.6mm, 2.0mm 등의 전선의 mm단위는 전선의 지름을 의미 하므로, 이 부분은 신경써서 선정해주시면 됩니다.  

전선 허용 전류표

전압 강하 라고 하는 단어를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전압 강하에 대한 설명은 일단 뒤로하고, 단순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전선에는 저항이 있습니다. 이 저항이 있음으로 인해 전류가 흐를때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전압 강하라고 부릅니다.

전선에서 오는 전압강하는 전선의 단면적이 굵을수록 적기 때문에, 굵을수록 효율이 좋습니다.

자세한 공식과 같은 경우에고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기계적 강도의 경우, 전선의 강도 즉 구부림 정도입니다. 전선은 굵을 수록 기계적 강도가 커지고 구부리기 힘들어집니다.

전주와 전주 사이를 연결할때 전선이 물렁하면 큰일 나겠지요? 그 점을 생각했을 때 기계적 강도도 고려해야합니다.

 

생각보다 자세한 내용까지 다루기는 하였으나, 사실  허용 전류만 생각하고 전선을 선정해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전기를 다룰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전기를 잘못 다루면 바로 세상과 인사하고 떠나야하니까요..ㅎ

전기란 정말 위험한 존재이지만! 세상에서 없으면 다른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존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