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차단기의 종류들과 환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차단기를 선정할 때는 환경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외에도 차단기를 선정하기 위한 원칙이 있습니다. 1. 사고 전류는 차단이 가능해야 한다. 2.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할 수 있어야 한다. 3. 부하 시동시 등, 사고 이외의 경우에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4. 목적으로 하는 보호가 가능해야 한다. 5. 회로 전압에 적합한 정격 장치의 것을 선정해야 한다. 6. 과부하, 단락 겸용 누전 차단기는 그 시설 개소를 통과하는 단락전류를 차단 할 수 있는 것, 즉 단락 전류치 이상의 정격 차단용량을 가지는 것을 선정해야 한다. 7. 누전차단기의 정격 전류는 부하 이상의 것을 선정해야 한다. 8. 과부하 단락보호겸용 누전차단..
차단기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차단기란 무엇인지 알아야합니다. 차단기란 차단기의 주요 목적은 전기를 (단락)차단하는 것 입니다. 전기의 차단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국에서 사용하는 콘센트에는 두개의 구멍이 있습니다. 저희는 아이들에게 그 구멍에 젓가락을 넣지 말라고 교육을 하죠. 전기를 잘못 사용하면, 돌이킬 수 없는 큰 부상을 당하게 됩니다. 그 이유에서 저희는 전기를 올바르게 차단 할 줄 알아야합니다. 전기를 차단하는 차단기에는 사실 MCCB, MC, NFB, ELB, CP 등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몰드된 회로 차단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배선 차단기입니다. NFB : No Fuse Breaker 퓨즈가 없는 차단기라는 뜻을..
제어 판낼이란 영어로는 Control Pannel 이라고도 하며, 전장박스 등 이런저런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러한 판낼은 전기가 들어오고 동작하는 시퀀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전기 지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기란 무엇인지, 차단기 선정 방법, 도면을 그리는 방법, 선 굵기를 선정하는 방법 등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한번 판낼을 직접 제작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삼상 전기와 단상 전기의 차이부터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제어 판낼을 스스로 제작할 수 있는 수준까지 제가 상세하게 설명을 다룰 예정입니다. 전장, 계장 설계를 사람들이 혼용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전장 설계의 경우 강전, 계장 설계의 경우 약전이라고 생각하면..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기전자
- 제어
- a접점
- b접점
- EMR
- UART
- 레더
- 교류
- 통신기술
- 마이컴
- 마이크로 컨트롤러
- 릴레이
- 모터
- 스테핑모터
- 실무자
- 쉬운설명
- 차단기 선정
- PLC
- 라즈베리파이
- 계전기
- 스테핑 모터
- 전자소자
- 전류
- BLDC
- SSR
- Serial 통신
- 트랜지스터
- 로터
- 통신
- 차단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