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지스터란 두가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소자 입니다. 첫 번째로 회로 내부에서 소자를 껏다 켰다 할 수 있는 "스위치 작용" 두 번째로는 회로 내부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작용" 트랜지스터 또한 자주 사용되는 회로 소자 중 한가지 입니다. 트랜지스터의 특징 트랜지스터는 금속 판이 있는 고출력 트랜지스터와 금속판이 없는 소형, 저전력 트랜지스터로 구분됩니다. 트랜지스터는 E,B,C의 리드 선이 있는데 각 이름은 [ E 이미터 ], [ B 베이스 ], [ C 컬렉터 ] 라고 부릅니다. 각 선의 역할은 NPN과 PNP마다 다르기 때문에 아래에서 따로 자세하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지스터의 동작 트랜지스터의 동작은 물이 흐르는 파이프 라인의 스윙게이트라 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

다이오드란 회로에서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해주는 소자입니다. 다이오드의 생김새 다이오드는 원통형 "몸체"에 "줄무늬"가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양 끝에는 금속선이 달려있는데 이 선을 "리드" 라고 합니다. 줄무늬가 있는 리드를 우리는 "음극" 줄무늬가 없는 쪽을 양극 이라고 합니다. 다이오드의 동작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려주는 소자 입니다. 다이오드의 양극에 회로의 VCC단을, 음극에 GND단을 연결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처럼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순 바이어스" 상태라고 합니다. 반대로 양극에 회로의 GND단을, 음극에 VCC단을 연결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됩니다. 이처럼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상태를 "역 바이어스" 상태라고 합니다. 각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콘덴서(축전기, 커패시터)란 건전지처럼 전기를 저장 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소자 입니다. 이름은 축전기, 커패시터, 콘덴서 로 불리고 있습니다. 필터 회로, 타이밍 회로, 에너지 저장, 평활 전원 공급 장치 및 기타 많은 응용 분야에 사용됩니다. 콘덴서의 특징 콘덴서는 "빠른 충전과 빠른 방전"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핸드폰 배터리와 비교하여 쉽게 설명해보자면, 핸드폰 배터리는 충전하는데 1시간에서 2시간정도 소요가 되고 보통 24시간 정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콘덴서는 배터리와 다르게 몇 초도 안되는 순간에 충전이 완료가 되고 몇 초면 방전이 됩니다. 콘덴서의 효과는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전류를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해줍니다. 노이즈를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IC회로(집적회로)에 안정적..
로봇의 어원 로봇이라는 것의 정의를 설명하려면 이 단어가 어디에서 부터 나온 단어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본래 "로보타(Robota)"라는 체코어에서 파생되어 나온 단어입니다. 한국어로는 "노예", "일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선한 뜻을 품은 단어는 아닙니다. 로보타 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체코슬로바키아의 한 작가인 "카렐 차페크"가 "R.U.R(Rossum’s Universal Robots,로줌 유니버셜 로봇)" 이라는 희곡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극 중에 나온 "로보타(로봇)"는 주인공인 "로줌"이 연구 중 개발하게 되었고, 로줌의 명령대로 일을 하다 지능이 점차 발달하여 인간을 노예로 삼게 됩니다. " 1920년 이 책이 출간된 이후 1942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로봇의 3원칙이 나오게..
- Total
- Today
- Yesterday
- 쉬운설명
- 제어
- 통신
- 레더
- 마이컴
- b접점
- 교류
- 스테핑 모터
- a접점
- 전기전자
- 차단기 선정
- 실무자
- 통신기술
- Serial 통신
- 트랜지스터
- SSR
- 차단기
- 모터
- 로터
- PLC
- 마이크로 컨트롤러
- 릴레이
- 스테핑모터
- 전류
- 전자소자
- 라즈베리파이
- BLDC
- UART
- 계전기
- EM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