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NAS란 Network Attached Storagy의 약자로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혹은 네트크 연결 저장 장치를 의미 합니다.
나스는 주로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외장하드 드라이브, 즉 네트워크 드라이버의 역할을 합니다.
일종의 구글 드라이브나 네이버 클라우드와 같은 역할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로 회사에서 NAS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 이유로는 원하는 용량까지 확장 가능한 저렴한 저장소 이기 때문입니다.
NAS는 아래와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 파일이나 문서 저장 및 공유
- 웹 기반 앱[애플리케이션], 서버측 웹 앱 개발
- 비디오 파일 스트리밍
현재 판매되고 있는 NAS 브랜드로는 아래와 같은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 Synology
- Qnap
- Asus
- Iptime
- WD
- Segate
등 다양한 제조사 들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Synology사의 NAS(DS220+ 모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타 사의 NAS보다 소프트웨어가 더 발전되어 있어, 모바일 기기에서 접근하기도 편하고 실제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phpmyadmin
php
maira DB
Web station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개인용 서버로써 충분한 역할을 해주고있습니다.
반응형
'엔지니어링 > Synology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무자가 들려주는 Synolog Nas 나만의 웹페이지 만들기 (0) | 2022.09.26 |
---|---|
[220802 최신]실무자가 들려주는 Synology NAS MQTT 설치 (0) | 2022.09.0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라즈베리파이
- SSR
- 모터
- 릴레이
- UART
- b접점
- Serial 통신
- EMR
- 제어
- 레더
- 차단기
- 차단기 선정
- 전기전자
- 로터
- PLC
- 마이컴
- 교류
- BLDC
- 전류
- 스테핑모터
- 쉬운설명
- 전자소자
- 통신기술
- 마이크로 컨트롤러
- 트랜지스터
- a접점
- 실무자
- 계전기
- 통신
- 스테핑 모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