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전기 계산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는
“플립플롭(Flip-Flop)”을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이번에도 비유와 예시로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플립플롭이란 무엇인가요?
플립플롭(Flip-Flop)은 한 번 신호가 입력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디지털 소자입니다.
입력 신호가 다시 변경되기 전까지 0 또는 1 상태를 기억합니다.
이 특성을 이용해 기억 장치, 데이터 저장, 타이밍 제어에 활용됩니다.
💡 비유:
플립플롭은 마치 방에 불을 켜고 끄는 스위치와 같습니다.
스위치를 누르면 켜지고, 다시 누르면 꺼지는 원리로 0과 1을 유지합니다.
🔌 플립플롭의 주요 역할
역할 | 설명 | 예시 |
데이터 저장 | 1비트의 정보를 기억 | RAM, 레지스터 |
타이밍 제어 | 클럭 신호에 맞춰 동작 | CPU 내부 타이밍 |
카운터 | 클럭 신호에 따라 0, 1을 셀 수 있음 | 타이머, 시계 |
상태 유지 | 전원이 유지되는 한 상태 기억 | 상태 제어 회로 |
🧱 플립플롭의 종류
종류 | 특징 | 용도 |
SR 플립플롭 | Set/Reset 동작, 기본형 | 간단한 메모리 |
D 플립플롭 | Data를 직접 입력받아 유지 | 레지스터, 래치 |
JK 플립플롭 | SR의 개선형, 상호 토글 가능 | 카운터, 제어 회로 |
T 플립플롭 | Toggle(반전) 동작 | 카운터, 주파수 나누기 |
🎨 플립플롭의 심볼과 진리표
✔️ 1. SR 플립플롭
- S(Set): 1로 설정 : 1이면 출력이 1로 설정
- R(Reset): 0으로 초기화 : 1이면 출력이 0으로 리셋
- Q: 출력
- S와 R이 동시에 1일 경우 불안정한 상태 발생
S | R | Q(출력) | 상태 |
0 | 0 | 유지 | 이전 상태 유지 |
0 | 1 | 0 | 강제로 0으로 초기화 |
1 | 0 | 1 | 강제로 1로 설정 |
1 | 1 | 무효(불안정) | 불안정 (금지상태, 사용하지 않음) |
✔️ 2. D 플립플롭 (Data Flip-Flop)
- D(Data): 입력 값 : 클럭 신호에 맞춰 저장
- Q: 출력 값
- CLK(Clock): 신호가 들어올 때만 반응
-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만 D의 값이 Q로 전송
D | CLK | Q(출력) |
0 | ↑ | 0 |
1 | ↑ | 1 |
💡 실무 팁:
클럭 신호가 변화할 때만 값이 갱신됩니다.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고 동기화되어 처리됩니다.
💡 비유:
D 플립플롭은 기록 버튼이 있는 녹음기처럼,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만 값을 기억합니다.
✔️ 3. JK 플립플롭
- J: Set 역할
- K: Reset 역할
- Toggle: 둘 다 1일 때 상태가 반전
- SR 플립플롭의 개선형으로, J와 K 두 입력을 사용
- J와 K가 1일 때 토글(Toggle) 기능이 작동
- 불안정 상태가 없으며, 모든 상태 전환이 가능
J | K | Q(출력) | 상태 |
0 | 0 | 유지 | 이전 상태 유지 |
0 | 1 | 0 | 강제로 0으로 초기화 |
1 | 0 | 1 | 강제로 1로 설정 |
1 | 1 | 반전 | 상태가 뒤집힘 |
💡 비유:
JK 플립플롭은 마치 스위치처럼,
두 개의 버튼으로 상태를 설정하고 반전시킬 수 있습니다.
JK 플립플롭은 마치 스위치처럼,
두 개의 버튼으로 상태를 설정하고 반전시킬 수 있습니다.
✔️ 4. T 플립플롭 (Toggle Flip-Flop)
-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상태가 반전(Toggle)
- 카운터 회로에 주로 사용
- T: 1이면 상태 반전, 0이면 유지
T | CLK | Q(출력) |
0 | ↑ | 유지 |
1 | ↑ | 반전 |
💡 비유:
T 플립플롭은 스위치가 매번 반대로 켜지고 꺼지는 램프처럼 동작합니다.
T 플립플롭은 스위치가 매번 반대로 켜지고 꺼지는 램프처럼 동작합니다.
🎨 플립플롭의 심볼 표현
플립플롭 | 심볼 |
SR 플립플롭 | S, R |
D 플립플롭 | D |
JK 플립플롭 | J, K |
T 플립플롭 | T |
🔄 플립플롭의 활용 예시
용도 | 설명 |
⏲️ 타이머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신호 생성 |
💾 레지스터 | CPU의 임시 데이터 저장 |
🔢 카운터 | 디지털 값의 증가/감소 제어 |
🚦 신호 제어 | 교통 신호, 디지털 스위칭 |
🧠 오늘의 요약
- 플립플롭은 디지털 회로의 1비트의 정보를 저장 하는 메모리 소자입니다.
- SR, D, JK, T 플립플롭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 유지, 토글, 리셋이 가능합니다.
- 클럭 신호에 맞춰 0과 1을 기억하고 유지합니다.
- SR은 기본 구조지만 불안정 상태가 있고, D 플립플롭은 데이터 기록에 최적화됩니다.
- JK 플립플롭은 불안정 상태를 제거한 개선형, T 플립플롭은 주로 카운터에 사용됩니다.
- CPU 레지스터, 주파수 분주기, 카운터 회로 등 디지털 시스템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 메모리, 카운터, 레지스터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카운터(Count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립플롭을 여러 개 연결하여 순서대로 숫자를 세는 회로를 만들어봅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익했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반응형
'회로에 흐르는 생각들 – 전기전자, 알고 쓰는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전자 기초 #14] 디코더(Decoder)와 인코더(Encoder)의 모든 것 | 디지털 신호의 변환과 해독 (0) | 2025.05.25 |
---|---|
[전기전자 기초 #12] 카운터(Counter)의 모든 것 | 숫자를 세는 디지털 회로의 핵심! (0) | 2025.05.23 |
[전기전자 기초 #13]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의 모든 것 | 데이터의 이동과 저장 (0) | 2025.05.21 |
[전기전자 기초 #10] 로직 게이트(Logic Gate)의 모든 것 | 디지털 회로의 기초! (0) | 2025.05.21 |
[전기전자 기초 #9] 연산 증폭기(Op-Amp)의 모든 것 | 전압 증폭과 신호 처리의 핵심!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