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전기전자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거나 해독하는 회로
디코더(Decoder)와 인코더(Encod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코더(Decoder)와 인코더(Encoder)란?

디코더(Decoder)와 인코더(Encoder)는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거나 해독하는 역할을 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 디코더(Decoder): 입력된 이진 코드를 해독하여 특정 출력으로 변환
  • 인코더(Encoder): 여러 입력 신호 중 활성화된 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

💡 비유:
디코더는 마치 비밀번호를 해독하여 문을 여는 열쇠와 같고,
인코더는 문이 열렸을 때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와 같습니다.


🔌 디코더(Decoder)의 주요 역할

디코더는 N개의 입력을 받아 2^N개의 출력을 생성합니다.

  • 2 to 4 디코더: 2개의 입력 → 4개의 출력
  • 3 to 8 디코더: 3개의 입력 → 8개의 출력

✔️ 2 to 4 디코더의 진리표

 

입력 (A1, A0) 출력 (Y3, Y2, Y1, Y0)
00 0001
01 0010
10 0100
11 1000

 

 

💡 실무 팁:
디코더는 주소 디코딩이나 LED 제어 등에서 특정 비트를 활성화할 때 사용합니다.


🧱 디코더의 활용 예시


용도 설명
메모리 주소 디코딩 특정 메모리 블록 활성화
LED 디스플레이 특정 LED만 점등
신호 해독 입력 신호를 원하는 출력으로 전환
 

🔌 인코더(Encoder)의 주요 역할

인코더는 여러 입력 중 하나가 활성화되면 그 정보를 이진 코드로 변환합니다.

  • 4 to 2 인코더: 4개의 입력 → 2개의 출력
  • 8 to 3 인코더: 8개의 입력 → 3개의 출력

✔️ 4 to 2 인코더의 진리표

 

입력 (D3, D2, D1, D0) 출력 (A1, A0)
0001 00
0010 01
0100 10
1000 11
 

💡 실무 팁:
인코더는 키패드 입력 처리, 센서 값 전송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 인코더의 활용 예시

 

용도 설명
키패드 입력 처리 누른 키의 위치를 이진 코드로 변환
센서 데이터 변환 다수의 센서 신호를 이진 데이터로 압축
제어 신호 전송 복잡한 신호를 단순하게 전송
 

🎨 디코더와 인코더의 심볼

회로 심볼
디코더
인코더
 

📐 디코더와 인코더의 차이점

 

구분 디코더(Decoder) 인코더(Encoder)
입력 개수 N개 2^N개
출력 개수 2^N개 N개
기능 이진 신호를 활성화된 신호로 해독 활성화된 신호를 이진 신호로 변환
용도 메모리, LED 디스플레이 키패드, 센서 데이터 전송
 

💡 실무 팁:
디코더는 주소 설정에, 인코더는 데이터 압축에 많이 사용됩니다.


⚡ 실무에서 디코더와 인코더 활용 예시

용도 설명
🔋 메모리 주소 설정 특정 메모리 블록 활성화
🎮 게임 콘솔 입력 처리 키패드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
🖥️ LED 매트릭스 제어 여러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
📡 센서 데이터 전송 다중 센서의 값을 이진 코드로 전송
 

🧠 오늘의 요약

  • 디코더(Decoder): 이진 코드를 해독하여 특정 출력을 활성화
  • 인코더(Encoder): 여러 입력 중 활성화된 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
  • 메모리 주소, 키패드 입력, LED 제어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됨
  • 2 to 4, 3 to 8 같은 입력/출력 변환이 일반적

📌 다음 글 예고
다음 시간에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와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익했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