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가 들려주는 저항 값을 계산(선정)하는 방법
저항이란 저항은 말 그대로 전기의 흐름을 방해(저항)하는 전기 소자입니다. 저항이 하는 일은 전기회로 안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한(방해)하여 회로 안에서의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를 바꿔주는 일을 합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공식인 V=IR의 의미는 "저항(R)은 전류(I)의 흐름을 방해하고, 그에 결과로 전압(V)이 감소한다"입니다. 저항의 크기는 "Ω"로 표시하며 옴(Ohm)으로 읽습니다. 저항은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자 부품의 손실을 방지하고 소자의 정상적인 작동을 돕습니다. 어떻게 보면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효율을 떨어뜨리는 매우 쓸모없어 보이는 존재로보이지만, 없으면 안 되는 화장실의 휴지 같은 존재입니다. 또한 금속처럼 전기가 통하는 물질은 저항이 낮..
로봇/전자
2020. 11. 18. 23: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통신
- 차단기 선정
- 모터
- SSR
- 교류
- 전자소자
- Serial 통신
- 차단기
- PLC
- 전기전자
- EMR
- b접점
- UART
- 통신기술
- 레더
- a접점
- 스테핑모터
- 쉬운설명
- 마이크로 컨트롤러
- 트랜지스터
- 계전기
- 릴레이
- 마이컴
- 스테핑 모터
- 로터
- 전류
- 라즈베리파이
- 실무자
- BLDC
- 제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